알림·뉴스

칼럼&인터뷰

[인터뷰]"AI와 바이오 융합…신약개발 속도 퀀텀점프"
  • 작성자
  • 작성일자
  • 조회233

출처: 아시아경제

[원문바로가기]



김우연 AI신약개발지원센터장
"기술력 차이 크지 않아…적극적 투자 필요"


"프로젝트 시작 단계부터 인공지능(AI)을 적용한 해외 기업은 18개월 만에 비임상 과정을 끝냈다고 합니다. AI가 신약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다는 이야기죠." 


 

지난달 29일 서울 서초구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관에서 만난 김우연 AI신약개발지원센터장은 AI를 활용한 신약개발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비임상 과정에는 4~6년이라는 시간이 걸린다. 이처럼 신약 개발에 필요한 후보물질 발굴이나 임상데이터 분석 등에 AI가 활용되면 개발 속도와 효율성을 키우는 '퀀텀 점프'를 할 수 있다는 의미다. 카이스트 화학과 교수이기도 한 김 센터장은 지난해 3월부터 센터를 이끌고 있다.


2019년 3월 제약바이오협회 산하에 설립된 AI신약개발지원센터는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AI 활용을 지원하고 인력 양성과 글로벌 협력을 돕는 기관이다. 이를 통해 AI를 활용한 신약개발의 가속화를 목표로 삼고 있다. 구체적으로 AI 신약개발을 위한 신기술의 홍보와 기업들의 AI 기술 활용을 지원한다. 현직자와 연구인력, 학생을 대상으로 한 AI 신약개발 교육 프로그램 역시 제공한다.


제약바이오협회가 센터를 설립한 건 AI를 활용한 신약개발의 성장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면서다. AI를 신약 개발 과정에서 활용하면 개발 속도를 단축하는 데 더해 신약개발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약바이오협회는 이를 위해 2018년부터 AI 신약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기구 설립을 추진하기 시작했고, AI 신약개발 생태계 조성을 위해 센터를 설립했다.


AI 신약개발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다. AI로 개발해 허가받은 신약은 국내외 전무하다. 초창기 산업인 만큼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들과 국내 기업들 사이 기술 격차가 크지 않다는 설명이다. 김 센터장은 "국내 AI 신약개발 기업의 논문 수준을 보면 지금도 기술력은 글로벌 기업들과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다만 투자와 성과 등에서는 해외가 앞선다. 글로벌 AI 신약개발 기업이 개발 중인 신약 후보물질이 임상 2상에 진입한 사례가 있다. 임상 1상을 진행 중인 곳도 여러 곳이다. AI신약 개발 투자의 70%가 미국에서 이뤄질 정도로 미국이 주도하고 있다. 반면 국내 AI 신약개발 기업은 대부분 임상 전 후보물질 발굴 등의 비임상 단계를 진행 중이다. 지난해 기준 52곳의 국내 기업이 88개의 신약 파이프라인을 개발 중이다. 국내 AI 신약개발 기업에 대한 투자는 벤처캐피탈(VC)을 중심으로 6000억원가량 이뤄졌다.


(중략)